본문 바로가기
필승 주식 관련 정보

주식 차트 설명과 보조 지표 알아보자. 가격이동평균선, 일목균형표

by 주식헌터 2023. 1. 31.
반응형

주식을 시작했다면 차트라는 걸 보게 됩니다. 처음 차트를 보게 되면 알 수 없는 빨갛고, 파란 막대기들과 선들을 볼 수

있습니다. 아무런 이해 없이 매매를 시작한다면 수익보다는 손실을 볼 확률이 높겠지요. 그래서 주식 차트 설명과 지표로

사용되는 가격 이동평균선, 일목균형표를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이 글을 보게 된다면 차트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차트는 무엇인가

차트는 하루하루 적정주가를 나타내는 캔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빨간 막대기, 파란 막대기를 캔들이라 부릅니다.

빨간색은 양봉 캔들, 파란색은 음봉 캔들이라고 합니다. 주식의 모든 조건들이 차트에 녹아 있습니다.

차트는 바로 주가이며 주가의 흐름을 기록해 놓은 그래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는 차트의 흐름을 분석하는 도구라고 보시면 됩니다. 많은 분들이 "차트는 후행이다"라고 하는데

절대 차트는 후행이 될 수 없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다 아는 재무제표만 보더라도 알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도 3개월 전의 이야기이고, 뉴스도 다 지나간 후 보도가 됩니다. 차트와 주가는 동행입니다.

같이 움직이는 것이죠. 차트 분석은 곧 주가분석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가 분석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주가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모든 것들의 선행입니다. 쉽게 말해 실적, 성장성, 가치, 저평가, 뉴스, 수급, 정보, 매물,

호재, 악재 기타 등등 실물 경제에 관한 모든 것, 기업 내용에 관한 모든 것, 들을 반영해서 나온 게 바로 주가입니다.

주가를 이해한다면 차드도 이해한다는 뜻이지요.

가격이동평균선이란

주식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격 이동평균선은 말 그대로

기간 대비 평균값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이 이평선도 단순, 지수, 가중, 3가지로 구분됩니다.

단순은 말 그대로 단순하게 기간 대비 평균값 만을 나타 냅니다. 과거와 현재를 비교했을 때

장기적으로 갈수록 현재에 대한 왜곡이 생깁니다.

지수는 기간 대비 평균값을 나타낼 때 과거보다는 현재에 대한 비중을 단순보다는 더 많이 반영을 해서 나타냅니다.

가중은 지수 보다 더 현재를 많이 반영해서 나타냅니다.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수치는 5, 10, 20, 60, 120일 선이며 매매자의 기준에 맞추어 7, 15, 33, 112, 224일 선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5일선은 단기 매매 단타를 할 때 많이 이용하는 선입니다.

단기적인 심리 상태를 보여준다는 의미로 '심리선'이라고도 부릅니다.

20, 33일선은 중기적인 추세의 흐름을 파악할 때 사용하는 선입니다. 이 선 위에 캔들이 있으면 '추세가 상향이고,

밑에 있으면 하향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는 추세선 또는 황금선이라 부릅니다.

112일선은 6개월, 224일선은 1년의 평균을 나타 냅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준선입니다.

이 선을 기준으로 현재 주가가 저평가인지 고평가 인지 알 수 있습니다. 

밑에 있으면 저평가, 위에 있으면 고평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목균형표란 무엇인가

일목균형표는 전환선, 기준선, 후행스팬,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 이렇게 의미 있는 5개의 선을 이용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으로 시간 개념이 포함된 지표입니다.

● 기준선

기준선은 최근 26일간 주가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값을 이동평균선처럼 표시한 선입니다.

주가의 평균값이므로 기준선이 상승세라면 현재의 주가도 상승 추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전환선

전환선은 최근 9일간 주가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값을 나타낸 선입니다.

기준선보다 더 단기의 주가 추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환선이 기준선보다 위에 있으면 상승추세,

아래에 있으면 하락추세를 의미합니다.

● 후행스팬

후행스탠은 26일 전 과거의 주가를 나타낸 선입니다.

● 선행스팬 1, 2

선행스팬 1은 (당일 전환선 + 당일 기준선) / 2의 값을 나타내는 선이고,

선행스팬 2는 (52일간 최고가 + 52일간 최저가) / 2의 값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흔히 구름대라고 부르며 구름대의 두께에 따라 저항의 강도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구름대 두께가 두꺼우면 저항이 강하다 볼 수 있고, 두께가 얇으면 약하다 볼 수 있습니다.

또 구름대는 강력한 지지의 역할과 저항의 역할을 합니다. 주가가 구름대 밑에 있으면 강력한 저항으로

작용하여 주가 상승이 어렵습니다. 반대로 주가가 구름대 위에 있으면 이 구름대가 강력한 지지

역할을 하여 주가가 더 이상 하락하지 않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시 말해 주가가

구름대 위에 있으면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밑에 있으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