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승 주식 관련 정보

주식 매매 기법 공구리, 밥그릇 제대로 알아 보자.

by 주식헌터 2023. 2. 3.
반응형

주식 단테 님의 기법으로 유명한 밥그릇, 공구리 기법으로 주식을 하는 많은 투자자들이 공구리 돌파

또는 눌림 자리와 밥그릇 3번 자리를 찾으려고 하는데요. 뭔지 알아야 찾을 수 있겠죠. 이 글을 보신 여러분들은 오늘 두 가지 기법을 마스터한 겁니다. 지금까지 주식을 하면서 느꼈던 경험, 생각과 마음속 스승님인 주식 단테 님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공구리 기법

하락하는 주가는 어디가 바닥인지 알 수 없습니다. 공구리 기법은 바닥을 잡는 것이 아니라 바닥을 만들고 올라오는 구간을 말합니다. 지지를 만드는 것을 보면 바닥임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구가의 바로 직전 언덕을 보고 지지를 찾아낼 수 있지요. 직전 언덕의 매물대를 뚫고 올렸다면 그 언덕 아래쪽이 바닥 즉, 공구리 입니다.공구리는 단기 1~2주 정도의 추세를 읽을 수 있습니다. 세력들도 공구리 지지를 단단하게 만든 다음에 주가를 상승시킵니다. 주가가 공구리 라인을 이탈하면 이전 언덕이 지지에서 저항으로 바뀌기 때문에 종목을 정리하고 나오는 게 좋습니다. 한 줄 요약 공구리란 바로 직전의 언덕(박스권)을 뚫고 올리는 것이다.

그림을 보고 공구리 패턴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공구리 기법 설명

공구리 1

전 고점 부근에서 매물 소화를 하면서 일정 기간 지지의 흐름을 보이다가 올리는 패턴.

공구리 2

쌍바닥 형태로 작은 공구리 구간을 하나 더 형성하고 올리는 패턴.

공구리 3

전 고점과 그다음 고점까지 물량을 소화하면서 눌림을 주고(개미 털기) 올리는 패턴.

3가지 패턴 중 가장 좋은 패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밥그릇 기법

작전에 의한 세력이 많이 사용하는 패턴으로 대형주보다는 소형주일 가능성이 높고, 대주주 지분율이 20~40% 사이일

확률이 높습니다. 크게 4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서 설명드릴게요.

밥그릇 기법용 자료

1번 구간

인위적으로 악재를 띄워서 주가를 싸게 만들어 놓고 적정 주가에 있던 개미들의 물량을 일정 부분 소화하면서

급락을 하는 구간입니다.

2번 구간

세력들이 개미들의 물량을 뺏어오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매집하는 단계입니다. 2번 구간은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박스권, 하락형이 있습니다. 2번 구간에서는 매집봉이 많을수록 좋으며 1번의 기간보다 최소 1:1 혹은 1:1.5의

비율로 길어야 좋습니다.

3번 구간(공략지점)

물량 확보가 많이 이루어진 단계이며, 출발 시작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랜 시간 224일선 밑에 잇던 주가가 224일선을

뚫고 올라왔다면 공략 가능합니다. 2번 구간보다 가격은 비싸게 느껴질 수 있으나 시간을 많이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개미 털기도 심하게 나오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4번 구간

주가가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급등하는 구간입니다. 호재 뉴스를 동반하여 세력들은 물량을 정리합니다.

부록정보. 골파기 패턴 나오는 이유와 피하는 방법

밥그릇 2번 구간에서 종종 골파기 패턴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골파기가 나오면 시간도 엄청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불안해지기 마련이죠. 골파기에는 대표적인 특징이 하나 있습니다. 이 특징을 알고 있다면

골파기를 피할 수 있겠지요. 비밀은 바로 224일선에 있습니다.

224일선은 1년 동안의 가격이동평균선입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평균 가격을 나타내는 선이지만

강력한 저항으로도 작용을 합니다. 주가가 224일선 밑에 있다가 뚫으면 상승한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224일선을 뚫을 때마다 기대감으로 매수를 많이 하게 됩니다. 개미가 많이 붙게 되는 것이지요.

세력은 개미를 털어내기 위해 골파기를 합니다. 그래서 224일선 기준으로 주가가 상승, 하락을 많이 했던 종목들은

거의 대부분 골파기를 합니다. 224일선을 많이 왔다 갔다 했다면 그만큼 세력이 강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결론은 224일선 기준으로 많이 왔다 갔다 한 종목은 골파기가 나왔는지 확인하고 매수하자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