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에는 약 3,000개의 종목이 있습니다.
그리고 매년 신규 상장을 통해 많은 기업들이 들어오고 상페를 통해 나가기도 합니다.
이처럼 많은 종목들을 일일이 다 공부하고 찾아보려면 엄청난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수많은 종목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알기 쉽게 해주는 중요한 창이 있는데요.
바로 인포스탁섹터창입니다. 이 창을 통해 테마별 업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젊은 업황 종류
테마명으로 구분을 하자면 젊은 테마의 업황은 우주항공산업(우주여행), 항공기부품, IT대표주, 자율주행차, 전기차,
수소차, 음성인식, NFT(대체불가토큰), 시스템반도체, 드론, 2차 전지, 블록체인, 가상현실(AR), 지능형 로봇/인공지능(AI) , AI 챗봇(챗 GPT), NI(네트워크통합), 메타버스, 스마트그리드, 무선충전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등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우리의 실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자율주행이나 로봇에 관련된 종목들은
유심히 살펴보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나이 많은 업황 종류
조선, 건설, 공작기계, 조선기자재, 강관업체(STEEL PIPE), 내연자동차, 철강 중소형, 건설기계, 시멘트/레미콘 등이
있으며 2차 산업의 주역으로 볼 수 있는 업황들입니다. 현재는 나이가 많아 큰 성장성은 없으면 주가도
바닥에서 놀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도 큰 메리트가 없기 때문에 현명한 투자를 하시는 분이라면 이런 업황보다는 미래 가치가 높은 쪽에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건강 / 질병 관련 테마
미래사회에 있어서 돈 다음으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게 바로 "건강" 일 것입니다.
예전부터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었지만 메르스, 코로나와 같은 질병으로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가
현재는 관심도가 많이 줄어들어 대부분의 종목들이 눌림목에 있습니다.
원숭이두창과 같은 새로운 질병들이 앞으로는 계속해서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이슈성
업황으로 보면 될 거 같습니다. 코로나와 같은 새로운 질병이 다시 나타난다면 급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테마로는 의료기기, 제습기, 슈퍼박테리아,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구충제(펜벤다졸/이버멕틴), 모더나, 치매, 제대혈, 면역항암제, 원격진료, 탈모 치료,
혈장치료/혈장치료제, 건강기능식품, 제약, 바이오 등의 테마가 있습니다.
여가와 관련된 테마
경기가 회복되면서 조금씩 차트의 흐름을 바꾸려고 힘쓰고 있는 여가와 관련된 테마로
여행, 카지노, 항공, 철도, 화장품, 백화점, 홈쇼핑, 광고, 골프, 패션/의류, 게임, 모바일콘텐츠,
모바일솔루션, 음원/음반, 웹툰, 등이 대표적이고 대부분의 종목들이 박스권 안에서 주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저점에서 조금씩 우상향을 하고 있는 참 좋은 여행, 롯데관광개발, 티웨이홀딩, 광주신세계, 카카오, 지니뮤직
등의 종목이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꾸준한 상승으로 박스권 상단부, 그 이상까지 올라갔으면 좋겠습니다.
시련을 겪고 성장 중인 테마
급격한 생활 변화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교육/온라인 교육, 재택근무/스마트워크입니다.
코로나라는 질병으로 인해 살면서 처음으로 자가격리란 것을 강제적으로 경험을 많이 하셨을 겁니다.
이러한 일들로 인해 우리의 삶에 조금씩 비대면이라는 시장이 들어왔고 많은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학교에 등교를 하지 않아도 온라인으로 수업을 하고 출근을 안 해도 집에서 업무를 처리를 하는 등
많은 것들이 변했습니다. 앞으로 이러한 일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대부분의 종목들이 한차례 큰 상승을 보였다가 눌림 이후에 조금씩 추세를 돌리고 있는 모습이 나오고 있습니다.
온라인 교육 종목 중에서는 DB, YBM넷, 아이비김영 같은 종목이 추세 전환 시도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새로운 질병들로 인해 위와 같은 사태를 점점 더 흔하게 겪을 수 있기에 미래에는 더 큰 성장성을 보이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사회 문제적 테마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노령화, 저출산인데요.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도 이제 점점 더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만큼 출산장려정책, 고령화 사회(노인복지) 등의 테마 역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관심에 비해 좋은 평가는 받지 못하고 있지만 이 테마도 충분히 미래 가치가 있다고 보입니다.
이 외에도 많은 테마가 있지만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댓글